• 맑음강릉 15.3℃
  • 맑음서울 13.4℃
  • 맑음인천 12.8℃
  • 맑음원주 11.6℃
  • 맑음수원 11.1℃
  • 맑음청주 14.1℃
  • 맑음대전 13.4℃
  • 맑음포항 11.9℃
  • 맑음대구 13.4℃
  • 맑음전주 13.1℃
  • 맑음울산 11.6℃
  • 맑음창원 15.0℃
  • 맑음광주 14.3℃
  • 맑음부산 16.8℃
  • 맑음순천 9.2℃
  • 박무홍성(예) 13.0℃
  • 맑음제주 19.5℃
  • 맑음김해시 15.8℃
  • 맑음구미 12.1℃
기상청 제공
메뉴

(부산일보) 삼국시대 금동신발 처음으로 보물 된다

문화재청, 백제 시대 금동신발 2건 보물로 지정 예고
전북 고창 봉덕리 1호분, 전남 나주 정촌고분서 출토
삼국시대 출토 신발 중 가장 완전한 형태·문양도 화려

 

 

 

삼국시대 금동신발이 처음으로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16일 전북 고창 봉덕리 1호분과 전남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금동신발 2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삼국 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은 국보나 보물로 상당수 지정됐지만, 금동신발이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동신발은 삼국 시대 유적에서만 발견되는 우리 고유의 고대 금속공예품 중 하나다. 비슷한 시기 중국 유적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고, 일본 고분에서는 유사한 형태의 신발이 출토된 적이 있지만, 이는 우리나라에서 전래한 것이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1500여 년 전 우리나라 고대인들의 상장례(喪葬禮) 문화를,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백제 금속공예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로 모두 5세기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은 “둘 다 한 쌍으로 출토된 금동신발은 5세기 후반께 제작돼 6세기 무령왕릉 출토 금동신발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단계를 보여주는 공예품으로 5~6세기 백제 미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공주대 홍보식 사학과 교수도 “삼국시대 고분 출토 금동신발 중 가장 완전한 형태로 발견된 보기 드문 사례”라면서 “특히 신발의 문양이 매우 화려하다”고 말했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4기의 대형 분구묘(墳丘墓, 봉분과 같은 분구를 조성한 다음 그 안에 매장시설을 둔 무덤 양식) 중 규모가 가장 큰 1호분 제4호 석실에서 2009년 무덤 주인의 양쪽 발에 신겨져 거의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출토됐다.

 

금동신발의 전체 모양은 흡사 배 모양을 연상케 한다. 투각(透刻·재료 면을 도려내거나 깎아서 무늬를 만드는 방식)한 육각형 구획 안에 용, 인면조신(人面鳥身·사람 얼굴에 새 몸통을 가진 상상의 동물), 쌍조문(雙鳥文), 괴수(怪獸), 연꽃 등 각종 문양이 화려하게 장식돼 있다. 신발 바닥에는 1.7cm 높이의 뾰족한 못 18개를 규칙적으로 붙였고, 내부는 비단 재질의 직물을 발라 마감했다.

 

문화재청은 “이 금동신발은 현재까지 삼국 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19점의 금동신발 중 가장 완벽한 형태이며,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과 비교할 때 어자무늬(물고기알 문양) 등 삼국 시대 초기 문양이 확인돼 시기적으로 앞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2014년 발굴됐다. 이 신발은 발등 부분에 부착된 용머리 장식이 현존 삼국시대 금동신발 중 유일한 사례여서 주목받아 왔다. 최근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분석 결과, 신발의 주인공이 40대 여성으로 추정된 바 있다. 이 금동신발의 형태와 제작기법, 문양 등은 고창 봉덕리 출토 금동신발과 유사하다. 얇은 금동판 4장으로 바닥판과 좌우 옆면판, 발목 깃판을 만들어 서로 작은 못으로 연결했고 문양을 투각했다. 아울러 육각문, 용문, 인면조신, 괴수문, 연화문 등 고대인의 사후 세계관을 반영된 듯한 다양한 문양이 정교하고 세밀하게 표현돼 있어 조형적으로 매우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화재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정달식 선임기자 dos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