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강릉 24.0℃
  • 황사서울 18.9℃
  • 황사인천 17.1℃
  • 구름조금원주 19.5℃
  • 구름조금수원 18.7℃
  • 황사청주 20.7℃
  • 황사대전 21.3℃
  • 구름많음포항 22.0℃
  • 황사대구 21.4℃
  • 황사전주 21.2℃
  • 구름많음울산 21.1℃
  • 구름많음창원 21.0℃
  • 황사광주 22.3℃
  • 흐림부산 19.6℃
  • 흐림순천 19.7℃
  • 구름조금홍성(예) 19.9℃
  • 황사제주 19.2℃
  • 흐림김해시 20.4℃
  • 구름조금구미 22.7℃
기상청 제공
메뉴

(강원일보) [이코노미 플러스]엇갈리는 집값 전망…전문가 64% “상승” vs 중개사 63% “하락”

KB 경영연구소 부동산 조사

 

 

“정책 변화 등 기대에 오를 것”…“대출 규제 등 부담에 내릴 것”
강원 포함 비수도권은 보합…관망세 확산 거래량 감소 가능성


올해 전국의 주택매매가격 전망을 두고 건설·금융·학계 등 부동산 전문가들과 일선 거래 현장에 종사 중인 공인중개업계 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전문가의 절반 이상은 올해 주택가격의 상승세를 예상한 데 반해 공인중개업계는 오히려 하락 전환을 점쳤다. 이 중에서 수도권 과열과 규제 이후 과열 양상을 보였던 강원도 등 지방 단위는 상승·하락 의견이 각각 절반 수준의 비중을 차지하며 보합 전망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부동산 전문가 64%…올해도 전국 집값 오른다=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KB 부동산 보고서'를 통해 건설·시행 35명, 공공·학계 73명, 금융 41명, 기타 12명 등 부동산시장 전문가 161명을 대상으로 올해 주택매매가격 전망을 설문한 결과 전체의 64%가 ‘상승'을 선택했다. 앞선 2021년의 상승 응답인 88%보다는 24%포인트가량 축소됐지만, 전문가 10명 중 6명가량은 올해 집값 상승세를 전망한 셈이다. ‘하락' 응답률은 36%에 그쳤다.

강원도를 포함한 비수도권은 전문가 중 52%가 ‘상승'을 예상했다. ‘하락(48%)' 전망과 격차는 4%포인트에 불과했다. 비수도권 집값 상승 요인으로는 ‘대선 후 정책 변화'가 20%로 가장 컸다. 이어 개발호재(19%), 대체투자처 부족·저금리 유동성(12%), 추가 상승 기대감(10%), 규제 강화 매물감소·전세수요 매매전환(9%) 순이었다.

강원도는 이들 요인 중에서도 개발호재 및 대체투자처 부족, 추가 상승 기대감 등이 주효한 상황이다. 실제 현재 춘천~속초 동서고속철도와 강릉~제진 동해북부선, 제2경춘국도 등 대규모 교통망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데다 그동안 강원도는 정부의 수도권 규제를 해소할 가까운 수요처로 활용됐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선 이후 정책 변화로 지방에 대한 주택 수요 분산 가능성도 있어 상승 가능성이 전망됐다.

반면 비수도권 주택매매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칠 요인은 대출 규제 강화(24%), 과도한 매매가격 부담(22%), 금리 인상에 따른 매매 비용 증가(16%) 등이 꼽혔다. 외지인 유입과 신규 브랜드 공급 등으로 최근 지방 단위 집값이 급등했지만 대출 규제가 수요를 가로막은 결과로 풀이된다.

■공인중개사 집값 보합 가능성 전망=전문가들과 달리 공인중개업계는 전국 주택 가격 전망에 대해 ‘하락' 측면으로 비중을 실었다. 실제 올해 주택매매가격에 대해 공인중개사들의 하락 비중은 63%로 상승 비중이 88%에 달했던 2021년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들은 하락 전망 요인으로 대출 규제(30%), 매매가격 부담(24%), 금리 인상에 따른 매매 비용 증가(16%) 등을 꼽았다.

강원도가 속한 기타지방은 ‘보합'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응답률을 보더라도 상승은 55%, 하락은 45%로 절반 수준의 비중을 보였다. 상승을 전망한 이유로는 ‘공급 물량 부족'이 21%로 최대 비중을 차지했다. 그동안 지방으로 신규 아파트 공급이 연이어 이어졌지만, 여전히 지역민과 외지인 수요를 충당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이유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하락 요인으로는 ‘대출규제'가 37%로 가장 컸고, 금리인상·매매비용(17%)이 뒤를 이었다.

도내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보합 가능성이 점쳐진 강원도 등 지방단위는 관망세가 더 확산돼 거래량이 한동안 감소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윤종현기자 jjong@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