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포항 19.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순천 17.8℃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김해시 19.6℃
  • 맑음구미 20.0℃
기상청 제공
메뉴

(제주일보) 제주에 ‘복음의 문’ 연 한국인 최초 목사 안수자

이기풍, 제주 최초의 기독교 선교사…신사참배 거부 항일운동
이기휴, 서귀농고·함덕농고 교장 등 역임…학교 확장·이전 기여
이남덕, 화가 이중섭 부인…이념적 자유 찾아 남편과 서귀포로
이달빈, 日 오사카 2·8독립선언 주역…첫 한국인 관허 수의사

 

▲이기풍李基豊:1865(고종2)~1942, 외지 선교사로서 제주도에 들어간 첫 기독교인.

신사참배를 거부한 기독교의 항일활동. 기독교의 장로교 목사. 제주 최초의 기독교 선교사.

평양에서 태어나 1883년까지 한학을 수학, 1903년 외국 선교사 마펫(馬布三悅)의 권유로 평양장로회 신학교에 입학했다. 4년 뒤에 제1회로 졸업한 7명 중 한 사람으로 한국인으로서 최초로 목사 안수를 받았다.

곧 독로회(獨老會)의 결의로 1908년 겨울 인천항을 떠나 목포를 경유 제주에 상륙, 제주 성안 선교 사업에 들어갔다. 뒤에 중인문(重仁門) 초가 두 채를 매입, 바깥채를 예배당으로 사용했다. 1910년 삼도리 옛 출신청 청사를 매입, 교회를 설립해 1915년 조선총독부에 신고 계출하니 이곳이 성안(城內)교회로서 본도 기독교 교회의 효시(嚆矢)이다.
 

구한말에 유배된 박영효(朴泳孝)가 구 한화(韓貨) 100원을 연출(捐出)하자 매입이 이루어졌다. 서울에서 세례를 받은 김재원(金在元)과 더불어 전도한 결과 다수의 신도를 확보했다.


1917년 시무(視務)하던 제주도를 떠나 이듬해 광주의 북문내(北門內)교회 초대 목사로 부임했다. 1920년 전라노회장(全羅老會長), 조선예수교 장로회총회 부회장, 다음해에는 총회장에 피임됐다.

2년 간 병고로 휴양한 다음에 1923년 전라남도 순천교회, 다음해 고흥교회, 1927년 제주의 성내교회로 다시 돌아왔다.

1931년 전남 벌교(伐橋)교회로 파송되면서 제주를 떠나 1934년에는 칠순의 노구로 여수(麗水)의 남면 우학리교회에서 각각 목회활동을 했다.

1938년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맞서 호남 지방의 교회 지도자들과 결속하여 싸우다가 검거됐다. 신사참배 거부로 광주형무소에 압송되기 직전 심한 고문으로 졸도, 병으로 보석됐다. 그때 받은 심한 상처로 1942년 6월 20일 우학리 자택에서 사망했다. 유해는 우학리에 안장됐다.

해방 이후 1948년 2월 제주노회(회장 강문호康文昊)에서는 이기풍 목사와 김재원(金在元) 장로에 대한 공적비를 서부교회(옛 성내교회) 한 모퉁이에 세워 그를 기렸다.

비문에는 “이공지공 복음선양 암중초광 이목동명, 김공지덕 도보초열 위주유충 념재천국(李公之功 福音宣揚 暗中初光 李牧同明, 金公之德 道寶初熟 爲主有忠 念在天國.)”이라고 기록됐다.
 

▲이기휴李基休:1905(광무9)~?, 중등 교장, 본관 전주, 표선면 성읍리 ‘정의-골’에서 이두찬(李斗燦)과 어머니 강화순(康和順) 사이에서 5남 3녀의 막내로 태어났다. 1923년 제주농업학교(3년제)를 졸업했다. 동년 4월에 전라남도 사범학교에 입학해 1924년 3월에 수료했다. 1924년 3월 조선보통학교 훈도로 임명되고 전라남도 일로(一老)보통학교에서 13년 5개월 동안 근무했다.

1945년 8월 15일 조국이 해방되어 10월 1일자로 농업실수학교의 교장발령을 받았다. 1951년 9월 1일부터 8개월간 한림중학교 교장, 1952년 5월 8일부터 다시 서귀농림고등학교 교장으로 복귀해 1960년 7월 4일까지 8년 2개월간 재임하면서 서홍동 ‘홍로’에 1만 7000여 평의 부지를 매입, 서귀농고를 이전(移轉)시켰다.

1960년 7월 5일에는 함덕농고 교장 겸 함덕중학교 교장으로 전근이 되어 1966년 3월 8일까지 5년 7개월간 재임, 귀속재산인 임야 7만여 평을 도비로 구입해 연습림, 목초지, 실습지로 활용케 한 것은 큰 업적이다. 함덕리민이 그의 공적비를 세웠다.

이후 1966년 3월 서귀농고 교장으로 다시 재임했다. 1970년 2월 28일 정년퇴임 할 때까지 근무하면서 3000여 평의 감귤원을 조성해 자활학교의 기틀을 마련했다.

▲이남덕李南德(여):1918~?, 본명은 ‘야마모토-마사코(山本方子)’, 일본 여인, 미술가 이중섭(李仲燮)의 부인, 본래 일본 천주교(天主敎)의 개화된 집안에서 태어나 좋은 환경에서 어린 시절을 자랐다.

1945년 야마모토-마사코(山本方子)가 먼저 귀국한 남편 이중섭을 찾아 한국에서 동년 5월에 결혼해 처음 함경남도 원산(元山)에 살림터를 자리를 잡고 이남덕(李南德)이라는 이름으로 두 아들 태성(泰成)과 태현(泰現)을 낳았다.

남편 이중섭은 1946년 북조선미술동맹에 가입, 원산사범학교 미술교사로 부임했으나 7일 만에 사직, 시인 구상(具常)의 시집 ‘응향(凝香)’사건으로 공산정권으로부터 문초를 받았으며 그 표지화의 작가로서 비판을 받아 반동으로 낙인찍혔다.

1950년 원산(元山)미술가협회를 조직하고 회장이 되면서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위해 남하를 결심하던 중 6·25전쟁이 일어나고, UN군이 북진하면서 그는 자유를 찾아 원산 시가를 탈출, 부산(釜山)을 거쳐 이념적 표현에 대한 부자유를 느낀 부부는 함께 38선을 넘어 월남(越南)한 뒤 제주로 건너왔다.

이 부부의 1년간의 서귀포 생활은 비록 가난했지만 행복과 즐거운 시절로 ‘섶섬이 보이는 풍경’, ‘서귀포의 환상’, ‘낙원’ 등은 이를 뒷받침을 한다.
 

▲이달빈李達彬:1893(고종30)~1979, 재(在)오사카2·8독립선언 참여 인사, 한국인 최초의 관허 수의사, 본 고부(벽동공파), 호 우농(愚農), 제주도교육위원 이문웅(李文雄)의 부친.

서귀포시 중문리(중-물) 이재익(李在益)의 아들이다. 1909년 오사카상공보습학교를 졸업한 뒤에 전문학교 입학자격시험에 합격, 1916년 4월 오사카부립대학 예과에 입학,

1919년 2월 8일 일본 간사이(關西)지역의 조선유학생회 주최 천왕사(天王寺)공원에서 2·8독립선언 낭독 및 시위가 있었는데 그 주역의 한 사람이다. 이런 항일 일로 오사카 이카이노(猪飼野)시(市)경찰서에 구금돼 문초를 받았다.

1920년 오사카부립대학 농학부 수의축산학과를 졸업해 수의사 자격 및 마약취급 면허증을 받았는데 이는 한국인으로서 최초이다.1921년 귀국해 강원도 회양(淮陽)군 난곡(蘭谷)면 현리 소재 이왕직(李王職)난곡목마장 운영부장 겸 수의관으로서 축산훈련소 교수였다.

일제강점기에 창씨(創氏)와 신사참배를 끝까지 거부한 의인이다. 1945년 8·15해방 당시 38선 이북에서 목마장이 소련군에 강점되고 그는 학력이 높다는 것을 인정해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북강원도 행정위원장 추대를 받고 이를 거절했다. 몰래 월남해 서울에서 창경궁동물원 원장 겸 수의관이 되니 이는 한국인 최초가 된다.

1950년 6·25전쟁으로 서울을 점거한 인민군에 이끌려 납북(拉北) 도중 임진강 도하 중에 미군의 폭격을 피해 탈출에 성공했으나 특무대에서 부역자로 낙인찍혀 심문을 받은 바 있다.

동년 정부로부터 전시용 마필징발 전권을 위임을 받았다.

1951년 1·4후퇴로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신흥동 2구에서 피난생활에 들어갔다. 1953년 10월 제주도공수의로 발령받았고 대한수의사회 수석 고문과 제주도수의사회 고문을 지냈다.

파란만장한 생애는 1979년 11월 21일 마감하니 중문리 ‘빌냇-도’ 선영에 잠들었다. 한편 2013년 12월 30일 중문리에서 이달빈훈적비(勳績碑) 제막식을 거행했다.

제주일보 jjnews1945@jejusin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