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업 비용이 없어서 가게를 계속 열어야 했어요. 장사가 안 돼서 문을 닫아야 하는데 닫는 데도 돈이 드니까요.”
사업 부진으로 폐업 사업자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지만 폐업조차 쉽지 않은 현실에 소상공인들의 고충이 커지고 있다.
27일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경남 지역 폐업 사업자 수는 2020년 5만1971명에서 2024년 5만6368명으로 5년 사이 8.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업 부진을 이유로 폐업한 사업자 비중은 2020년 48.0%(2만4948명)에서 지난해 51.7%(2만9140명)로 3.7%p 상승하며, 절반 이상이 ‘장사가 안돼’ 문을 닫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몇 년간 ‘최저임금 인상’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소상공인 경영 부담이 가중된 것이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코로나19 이후 달라진 소비 패턴과 온라인 쇼핑 확대, 배달앱 수수료 부담 등도 자영업자들의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창원에서 8년간 음식점을 운영하다 최근 폐업한 김모(52)씨는 “코로나 이후 매출이 반 토막 났는데 임대료와 인건비는 그대로여서 매달 적자를 보다가 결국 가게를 접었다”며 “간판 철거, 인테리어 원상복구 등에 수백만원의 비용이 들어 막막했다”고 토로했다. 이어 “적자를 내면서도 계속 버틴 이유 중 하나가 폐업 비용이 없어서였다”며 “폐업하려면 임대인에게 원상복구를 해줘야 하는데, 그 돈이 없으니 어쩔 수 없이 장사를 해야 했다”고 말했다.
실제 폐업한 소상공인들은 원상복구 비용을 가장 큰 부담으로 꼽는다. 인테리어 철거, 간판 제거, 설비 철거 등에 평균 200만~500만원이 소요되는데, 사업 부진으로 자금 여력이 없는 상황에서 이 비용을 마련한다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경남도 소상공인정책과 관계자는 “폐업 소상공인에게는 최대 600만원을 지원하는 정부 지원 사업을 우선 안내하고 있다”며 “다만 중복 수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 지원 사업은 정부 지원의 보완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내년에는 도 지원 한도를 300만원으로 확대해 더 많은 폐업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