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어민들이 사라지고 있다. '경기 바다'를 살리기 위해 경기도가 매진했지만, 이런 움직임이 무색하게 5년 새 어민 4명중 1명 꼴은 바다를 떠났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경기도 어가 인구는 2019년 기준 1천346명이다. 2015년 1천843명이었지만, 500명 가까이(26.9%)가 줄어들었다. 전국 감소치(11.2%)의 2배 이상이고, 바다를 끼고 있는 시·도 중에선 가장 감소세가 가파르다. 2015년 1843명 → 2019년 1346명 26.9% 줄어 전국 감소치 2배 이상 '어가 인구'는 판매 목적으로 1개월 이상 어업을 경영하거나 수산물 수입이 120만원 이상인 가구원을 뜻한다. 경기도내엔 화성·안산·김포·시흥·평택 5개 시에 있는 궁평항, 평택항 등 33개 어항에서 어민들이 생업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도 해안선만 267.94㎞에 이른다. 경기도 어민들이 가파르게 줄어드는 주된 이유는 생업을 유지하기 어려워서다. 이는 경기도 바다를 찾는 발길이 줄어든 데서 기인한다. 관광객들이 경기도 바다를 찾아 수산물을 소비할 때 발생하는 수익이 그동안 어민들 수입의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매년 경기도 바다를 향한 발길이 조금씩 줄어들었고 코로나19 사
오랜 기간 공전했던 경기도 내 대형 사업들이 이재명 도지사 취임 이후 잇따라 본궤도(2020년 12월16일자 1면 보도=물꼬 튼 현덕지구, 경기도 잇단 호재)에 올랐지만 물꼬가 트인 것도 잠시, 연내 예정됐던 착공을 담보할 수 없게 되는 등 다소 주춤하는 모습이다. 8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화성국제테마파크, CJ라이브시티 등 경기 남·북부를 대표하는 대형 테마파크 사업은 오랫동안 지지부진했다가 이 지사 취임 후 새 국면을 맞았다. 수차례 조성이 불발됐던 화성국제테마파크는 신세계그룹의 참여가 확정됐고, 2016년 공사가 멈춰섰던 CJ라이브시티 역시 4년 만인 지난해 정상화 단계를 밟게 됐다. 모두 올해 착공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었다. '화성국제테마파크' 설계 늦어져 고양 'CJ라이브시티' 인허가 아직 그러나 두 사업 모두 올해 착공이 불발될 가능성이 큰 상태다. 화성국제테마파크의 경우 설계 작업이 늦어지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 설계 용역이 마무리돼야 인·허가와 착공에 들어갈 수 있지만 연내에 설계가 매듭지어질지 미지수다. '세계 최대 규모 테마파크' 조성에 방점을 찍고 있는 만큼 설계 작업에 예정보다 많은 시일이 소요된다는 이유인데, 내년 이후에 첫 삽을 뜰 가
사고 위험이 높은 도로에 속도제한 등을 적용한 '보행자 우선도로'가 경기도에는 단 1곳밖에 없다. 정부는 법 개정을 추진, 보행자 우선도로 설치를 확대하는데 주력하고 있지만 경기도는 자체적으로 추가 설치하려는 계획이 없어 상대적으로 보행 환경 개선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보행자 우선도로는 인도와 차도 구분 없는 폭 10m 미만이면 도로에 차량 속도를 20㎞/h 이하로 제한하는 한편 안전시설을 설치토록 해 보행자의 안전·편의를 우선한 도로다. 지난해 공주대 이경환 교수 등은 보행자 우선도로가 설치된 지역의 교통사고가 설치 전보다 28.8%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놔 보행자 우선도로의 안전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다. 이에 지난해 말 해당 도로의 설치를 활성화하기 위한 법 개정안이 잇따라 발의되기도 했다. 교통사고 '28.8% 감소' 연구 결과 道, 자체예산 편성해 설치계획 無 이달 기준 전국 106곳에 설치됐지만, 전국 최대 광역단체인 경기도에는 평택시 서정리역 부근 1곳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수도권인 서울(73곳)과 인천(4곳)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보행자 우선도로는 행정안전부가 공모해 예산을 지원하는 형태로 설치하거나, 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