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동구 역세권지구에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이전이 가시화되면서 '기상산업 클러스터' 구축에 따른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있는 대전에 기상청과 산하 공공기관은 물론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민간 기상산업체까지 이전할 경우 경제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전망에서다. 다만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최적의 부지가 마련되지 않았고, '기상산업기술원 지방이전계획(안)' 승인 절차가 아직 이뤄지지 않은 만큼 대전시와 유관 기관의 조속한 협의가 과제로 남았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5일 제37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를 열고 기상청과 기상산업기술원의 이전공공기관 지정안과 기상청 지방이전계획안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서울 서대문구 소재 기상산업기술원(직원 수 174명)은 2025년 하반기 대전 동구 역세권지구로 이전할 예정이다.
기상산업기술원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국내 기상산업체의 매출은 5022억 원 수준으로, 매년 성장세를 보여 미래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활동 중인 기상사업체는 800개 규모로,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기상청과 시는 기상산업기술원 이전과 함께 민간 사업체 일부가 지역에 내려올 경우 지역경제 활성화와 함께 균형발전 측면에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 지역 대학과 대덕특구 인프라와 연계해 관련 인재 양성은 물론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융복합 기상기술 연구개발(R&D)에도 시너지 효과가 예상된다. 대덕특구에는 인공지능(AI)과 드론, 빅데이터, 기상 장비표준 등 관련 연구를 할 수 있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이 몰려 있어 협력 여건이 우수하다는 평가다.
다만 클러스터 내 기업성장지원센터, 실증실험부지, 인력양성기관, 체험·전시관 건립 등도 검토되는 상황에서 충분한 부지 마련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 관계자는 "관련 기상산업 기업을 빨리 내려오게 하려면, 기관·기업 등이 원하는 부지와 정주여건 등을 마련하는 게 우선"이라며 "이전 부지를 확정하는 데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는 만큼 관계 기관과 서둘러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클러스터가 구축되면 공공·민간 일자리 창출은 물론 대덕특구 인프라를 활용해 기상 장비 국산화는 물론 해외 수출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를 위해 내년 기획재정부와 이전예산 등을 협의하고, 필요에 따라서 클러스터 TFT를 구성해 운영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정인선 기자 jis@daej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