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지역 건설업이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
주택 미분양 증가, 원자재·인건비 상승에 따른 시공 비용 폭등, 일감 부족으로 연쇄 폐업이 이어지고 있다.
18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현재 도내 종합건설업 12개소, 전문건설업 24개소 등 36개소가 건설업 면허를 자진 반납하고 폐업했다. 지난해는 92개소(종합 23·전문 69개소)가 폐업했다.
폐업이 속출한 이유에 대해 대한건설협회 제주도회 관계자는 “관급공사는 수주경쟁이 치열해 낙찰받기가 어렵고 민간 부분은 발주를 하지 않으면서 올해 건설경기는 최악의 상황”이라고 말했다.
제주도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건설 수주액은 1683억원(공공 1462억원·민간 221억원)으로 최근 3년 간 최저 수준이다.
도내 건설 수주액은 ▲2022년 5147억원(공공 3706억원·민간 1441억원) ▲2023년 6796억원(공공 5981억원·민간 815억원) ▲2024년 4695억원(공공 3683억원·민간 1012억원)으로 매년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최근 폐업을 한 철근·콘크리트업체 대표는 “인건비·자재비가 오르면서 공사비는 갈수록 치솟고 있지만, 미분양과 미수금이 급증해 면허를 반납하고 폐업을 선택했다”고 한숨을 쉬었다.
제주도는 건설경기 부양을 위해 ▲해외 공적개발원조(ODA) 공사 참여 ▲14개 건설 대기업의 협력업체 등록 ▲100억원 이상 공공 부문 지역업체 하도급 70% 이상 참여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 도내 업체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원도급사에 하도급대금 지급보증 수수료 50%(최대 500만원)를 지원하고 있다.
도는 코이카(KOICA·한국국제협력단)의 공적 원조로 인도네시아의 폐기물시설 사업에 참여할 도내 업체를 물색했지만, 수익 보장과 공사비용 보증의 어려움으로 참여 업체가 나오지 않았다.
지역업체 하도급 70% 이상 참여는 의무가 아닌 권고 사항으로 구속력이 없는 상태다.
원도급의 대금 미지급 방지를 위해 하도급대금 보증 수수료를 지원해 주고 있지만, 업계 관행상 보증 계약을 체결하지 않으면서 이 제도가 확산되지 않고 있다.
도 관계자는 “읍·면지역 미분양 사태와 대출 규제, 고금리, 고물가로 건설경기가 침체된 상황으로 공공 부문을 최대한 확대하고 조기 발주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특히 전국 14대 건설 대기업 협력업체에 도내 7개 업체가 등록돼 앞으로 대형 공사에 지역업체가 참여하는 길이 열리게 됐다”고 말했다.
도는 조만간 건설 대기업을 제주에 초청, 도내 업체가 협력업체에 등록될 수 있는 간담회 자리를 마련하기로 했다.
대기업은 제주지역에서 발주한 공사에서 등록된 협력업체에만 일감을 주고 있다. 협력업체가 아니면 대형 건설현장에 참여할 수 없다.
한편, 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제주지역 건설수주액은 전년 동기 대비 70.6%나 감소했다.
공종별로 보면 건축(70.1%), 토목(71.7%), 발주자별로는 민간(74.2%), 공공(65.0%) 전 부문에 걸쳐 대폭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