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흐림원주 15.8℃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포항 18.9℃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창원 20.9℃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순천 19.8℃
  • 홍성(예) 18.2℃
  • 맑음제주 26.3℃
  • 흐림김해시 21.3℃
  • 흐림구미 18.3℃
기상청 제공
메뉴

(강원일보) 살림 왜 팍팍하나 했더니…5년간 먹거리 물가 4배 넘게 껑충

지난해 도내 생활물가 상승률 2.6%
도내 소비자물가지수보다 0.3%포인트 높아
신선식품물가는 9.8%오르며 소비자물가 상승폭 보다 4배 껑충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과 직결되는 주거·식생활·의류 등의 의식주 관련 생활물가가 지난 5년간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 강원지방통계지청 통계를 살펴보면 지난해 도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6%로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2.3%)보다 0.3%포인트 높았다. 2019년만해도 생활물가 상승폭이 소비자물가 상승 폭을 밑돌았지만 2020년 역전된 뒤 해마다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생활물가지수는 식료품, 주류 및 담배, 의류 및 신발, 공동주택관리비 등의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깝다.

 

채소, 과일 등 먹거리가 포함된 신선식품 물가는 지난해 9.8% 오르며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4배 이상 높았다. 전기·수도·가스값도 전년대비 3.1% 오르는 등 서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장기수선충당금 등 주거관련 서비스 물가도 가파르게 뛰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강원지역 아파트 장기수선충당금(장충금)은 최근 5년간 30% 넘게 급등했다. 지난해 강원지역 아파트 단지 연평균 장충금은 ㎡당(전용면적 기준) 255원으로 2020년보다 35% 비싸졌다. 지난해 기준으로 59㎡는 연간 18만원, 84㎡는 연간 26만원을 장충금으로 냈다는 의미다. 2020년에는 59㎡는 13만원, 84㎡는 19만원을 냈으나 장충금이 각각 5만원, 7만원씩 오른 것이다.

 

한국경제인협회가 16일 발표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에서도 실제 물가와 체감물가 간 괴리가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보고서는 2019∼2024년 주거와 식생활, 의류를 합친 의식주 물가는 연평균 4.6%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2.8%)보다 1.8%포인트 높은 수치다.

 

해당 보고서를 의뢰받은 김상봉 한성대 교수는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의 가파른 상승으로 서민들의 체감물가 부담이 컸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