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후 경상남도교육청에서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진해 웅동학원의 사회환원 책임 문제가 또다시 쟁점으로 떠올랐다. 박종훈 경남교육감의 임기 마지막 과제로 ‘웅동학원 사회환원’이 거론되면서 여야 의원들 사이에 신경전도 오갔다.
국민의힘 서지영 의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박종훈 경남교육감을 향해 웅동학원 사회환원 및 채무변제에 대한 책임을 강하게 압박했다.
서 의원은 “지난 9월 조국 전 장관 가족이 웅동학원 이사진에서 한 걸음 물러났지만, 10년간 채무변제를 한다는 계획은 사실상 남은 자산에 대한 탐욕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웅동학원 부채가 약 91억원, 자산은 68억원인데, 지난 6년 동안 갚은 돈은 고작 1억원뿐임에도 박 교육감은 재직 12년간 족벌 경영 체제를 방관하고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은 이어 “박 교육감은 임기 내 시정명령 등 모든 조치를 강구해서 웅동학원의 사회환원 약속이 이뤄지도록 해야 하며, 필요하면 해산까지 이뤄져야 한다”며 “명예롭게 퇴직할 수 있도록 교육감의 마지막 소임으로 웅동학원 문제를 확실히 마무리 짓도록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은 “박 교육감이 명예롭게 물러나는 길은 정치 교육감을 하지 않는 것”이라며 서 의원의 발언에 날을 세웠다. 고 의원은 “경남교육청에서 그동안 여러 부문에서 상당히 선도적인 사업을 많이 했는데, 이러한 사업을 경남에서만 하지 말고 전국에서 따라올 수 있게 하는 게 교육감이 마지막으로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도 “지난달 조국 전 장관 가족이 웅동학원 이사진 자리에서 물러난 것 자체가 사회환원의 첫걸음이자 약속의 시작이며, 탐욕이 남아있다는 표현은 부적절하다”며 “도교육청은 법인 채무 변제를 돕고, 학교가 지역사회로 돌아올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박종훈 교육감은 “웅동학원의 채무변제를 위해 법인과 자산관리공사가 참여하는 3자 협의체를 구성했다”며 “자산공사를 대상으로 법인의 이자탕감 등을 통해 실질적 부채 변제가 가능하도록 협의 중이며, 부동산 매각을 통해 채무를 갚을 수 있도록 조정자 역할을 하는 등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이날 국감에서 도교육청의 학생 스마트 단말기 보급 사업과 관련된 교사 징계에 대한 질의도 나왔다.
국민의힘 정성국 의원은 “지난해 해당 사건과 관련해 6명이 징계를 받았는데, 징계 수위가 불문경고로 두 단계가 낮아졌고, 대상자도 1명 줄어서 5명이 됐다”며 “두 단계 이상 징계 감경의 결과 처리와 대상자 변경에 대한 해명을 보고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징계가 실제로는 한 단계만 낮아졌고, 대상자 수가 줄어든 이유는 징계 교사 한 명이 퇴직했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