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지락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바닷물이 뜨거워져서 그렇죠.” 지난 1일 화성시 서신면 백미리어촌에서 만난 김호연 백미리 어촌계장은 줄어든 어획량으로 답답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백미리는 갯벌에서 나오는 바지락으로 유명한 곳이다. 과거엔 1명이 수백㎏을 채취하는 호사를 누렸지만, 지금은 옛말이 됐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에 따르면 경기도 바지락 생산량은 2000년대 초 6천500t에 달했지만 지난해 757t으로 87%나 줄었다. 연구소는 바지락 어획량 감소의 원인으로 서식지 감소, 퇴적물 증가 그리고 서해 수온 상승을 꼽았다. 수온이 높아지며 폐사 발생 가능성도 덩달아 증가했다는 것이다. 줄어든 바지락 생산은 판매 실적 감소로 이어졌다. 경기수협 집계 결과, 궁평항사업소의 2023년 패류 위판실적은 24억3천900여만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14억9천700여만원으로 1년 만에 9억여원이나 줄었다. 경기수협 관계자는 “바지락 등 어패류는 표면에서 보통 2~3㎝ 밑에 있기 때문에 바닷물이 뜨거워지면 직격탄을 맞아 폐사할 수밖에 없다”며 “80~90%가 폐사되다 보니 판매량도 많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한반도 바다가 뜨거워지고 있는 현상은 거스를 수 없는 현실이
경기도교육청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공공형·개방형 스포츠클럽 'G-스포츠클럽'이 시행 4년째를 맞았다. 엘리트 체육과 생활체육을 연계하는 선순환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나선 G-스포츠클럽의 현주소는 어떨까.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마다 스포츠가 국민들을 위로하고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모두가 어려운 시기에 일찌감치 스포츠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데에는 학교 운동부가 있었다. 학교 운동부를 중심으로 성장한 선수들이 아시안게임이나 올림픽 등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기 때문이다. 하지만 학교 운동부 중심 엘리트 체육의 폐해가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일부에서 성과에 치중한 나머지 학생 선수들은 학업을 등한시했고 폐쇄적인 학교 운동부 운영으로 선수들에 대한 욕설과 구타 등 인권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특히 학령인구 감소로 학교 운동부 선수마저 줄어들며 일부 학교 운동부가 고사 위기를 맞기도 했다. 전국 첫 공공·개방형 클럽 4년째 기존 '성과치중' '학업소홀' 대안 경기도교육청은 그 대안으로 엘리트 체육과 생활체육을 연계하는 선순환시스템을 만들고 마을 브랜드화를 통해 선진국형 스포츠클럽을 만들겠다고 나섰다. G-스포츠클럽은 교육청과 지자체 간의 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