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 창간 76주년 여론조사 삼척시장 후보 적합도 분석 내년 6·1 지방선거 삼척시장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양호 현 삼척시장이 경쟁자들을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이 강세를 보였다. 강원일보가 창간 76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달 18일부터 20일까지 삼척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520명을 대상으로 삼척시장 여야 후보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4.3%포인트) 현역인 김양호 삼척시장이 33%로 1위에 올랐다. 추격자들과의 격차는 3배 이상이다. 10.3%를 얻은 김인배 전 삼척시의장과 9.1%인 박상수 도의원, 8.5%인 이정훈 삼척시의장이 비슷한 지지율을 얻으며 추격그룹을 형성했다. 민주당 주자들만 대상으로 한 적합도 조사에서도 김양호 시장은 41.3%를 기록, 12.5%인 이정훈 시의장을 크게 앞섰다. 안호성 이사부기념사업회장은 6.3%였다. 야권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는 박상수 도의원이 17.7%, 김인배 전 삼척시의장이 15.5%를 기록했다. 1, 2위 격차는 2.2%포인트로 초접전이다. 김대수 전 삼척시장도 11.8%로 두 자릿수를 얻었고, 홍용기
더불어민주당 김철수 속초시장은 여야 및 당내 적합도 조사에서 모두 1위에 올랐다. 그러나 국민의힘 이병선 전 속초시장이 턱밑까지 따라붙은 데다 당내 경쟁에서도 2위와 오차범위 내여서 현 상태라면 방어전이 만만치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김철수, 민주당 지지층서 압도적=민주당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김철수 속초시장은 27.3%로 선두에 올랐다. 특히 민주당 지지층의 46.7%가 김 시장을 선택, 여당 주자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냈다. 제2선거구(29.2%)와 40대(32.9%)층에서도 고른 지지를 받으며 전체 여야 적합도 조사 때보다 지지율을 8.2%포인트 끌어올렸다. 주대하 도의원의 기세 역시 만만치 않다. 주 도의원은 제1선거구(20.5%)와 50대(31.1%), 중도(21.5%)층에서의 강세를 발판으로 전체 여야 적합도 조사 때보다 10% 넘게 지지율 상승을 일궈냈다. 김 시장이 끌어올린 지지율보다 높다. 두 주자의 격차는 8%포인트로 오차범위 이내로 진입, 치열한 공천경쟁이 예상된다. ■이병선 다자구도 야권 경쟁서 여유 있게 선두=국민의힘 적합도 조사에서는 이병선 전 속초시장이 26.4%로 1위에 올랐다. 2위인 김진기 전 속초시의장과의 격차는 12.3%포인
본보 창간 76주년 여론조사 태백시장 후보 적합도 분석 내년 6·1지선 태백시장 여야 후보 적합도 조사 결과 류태호 태백시장과 류성호 전 태백경찰서장이 선두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도 및 내년 선거 전망에서는 국민의힘이 강세를 보였다. 강원일보가 창간 76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태백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507명을 대상으로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태백시장 후보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 류태호 태백시장 19.1%, 류성호 전 태백경찰서장 14.3%였다. 두 주자의 격차는 4.8%포인트로 오차범위 이내다. 심창보 태백시의원은 6.1%, 송영선 전 태백부시장은 5.8%로 다소 먼 거리에서 선두그룹을 추격 중이다. 민주당 후보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류태호 태백시장이 29.3%를 얻었다. 8.9%로 2위에 오른 김정식 전 태백시의장과의 격차는 20.4%로 매우 크다. 범야권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는 류성호 전 태백경찰서장이 20%로 1위에 올랐다. 류 전 서장의 뒤를 쫓고 있는 심창보 태백시의원은 9.4%였고 송영선 전 태백부시장 7.5%, 이한영 태백시의원 7%,
동해시장 후보 적합도 분석 내년 6·1 지선 동해시장 여야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심규언 동해시장이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보 적합도 및 정당 지지도 모두 국민의힘이 강세였다.리얼미터에 의뢰해 동해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512명을 대상으로 시장 후보 적합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95% 신뢰수준에 ±4.3%포인트) 심규언 동해시장이 24.5%로 1위에 올랐다. 심상화 강원도의원은 10.3%를 기록했다. 김형원 도의원은 5.2%, 오원일 전 도의원은 5.1%를 기록했다. 심규언 시장은 범야권 후보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27.2%로 선두에 올랐다. 심상화 도의원은 이 조사에서도 심 시장에 이어 2위를 기록했지만 지지율을 좀 더 끌어올리며 후보간 격차를 12.2%포인트로 좁혔다. 오원일 전 도의원은 8.6%, 서상조 전 새누리당 보좌관협의회 부회장은 6.2%였다. 민주당에서는 김형원 도의원이 12.4%로 유일하게 두 자릿수 지지율을 얻어 1위로 나섰다. 최석찬 동해시의원은 8.6%, 김홍수 해군사랑바다사랑회장 8.5%, 안승호 동해안시대포럼대표 6.4% 순이다. 4명의 주자가 모두 오차범위 이내에 있다. 한편 김진동 전 시장은 본인과의 협의를 거쳐
본보 창간 76주년 여론조사 현직 강릉시장 지지율 크게 앞서 민주당 후보 오차범위내 공천경쟁 국민의힘-34% 민주당-27.2% 내년 6·1 지방선거 강릉시장 여야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김한근 강릉시장이 경쟁자들을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세가 강한 지역답게 국민의힘이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강원일보가 창간 76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강릉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511명을 대상으로 강릉시장 후보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에 ±4.3%포인트) 김한근 강릉시장이 22.7%를 얻어 전체 1위를 차지했다. 2위인 김중남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과의 격차는 16.5%포인트로 3.6배 이상 앞선다. 김부의장은 6.2%를 기록, 심영섭 도의원(5.5%)과 김홍규 전 강릉시의장(4.8%), 배선식 더불어민주당 강릉시지역위원장(4.6%), 강희문 강릉시의장(4.5%) 등과 추격 그룹을 형성했다. ※2면에 계속 김한근 시장은 국민의힘 후보만을 대상으로 한 적합도 조사에서도 23.7%를 얻어 여유있게 1위에 올랐다. 7.9%를 얻은 강희문 강릉시의장과 7.4%인 심영섭 도의원이 근소한 차이로 2, 3위를 기록했고, 김홍규
차기 원주시장 부동층이 절반 민주당-33.8% 국민의힘-29.1% 내년 6·1 지방선거 원주시장 여야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구자열 전 강원도지사 비서실장과 국민의힘 원강수 전 도의원이 선두권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택을 보류한 응답자가 절반 이상이어서 부동층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강원일보가 창간 76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원주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516명을 대상으로 차기 원주시장 후보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에 ±4.3%포인트) 구자열 전 도지사 비서실장 12.8%, 원강수 전 도의원 8.6%였다. 1, 2위 격차는 4.2%포인트다. 이어 최혁진 전 청와대 비서관(5.6%)과 김광수 전 원주부시장(4.6%)순이다. 다만 ‘없다'와 ‘모름/무응답'을 택한 부동층이 51.4%에 달해 향후 이들의 표심이 당락을 가를 전망이다. 여권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는 구자열 전 실장이 15.8%로 역시 1위에 올랐다. 여론조사에 처음 포함된 김광수 전 부시장이 8.7%로 2위를 기록했고, 최혁진 전 비서관 7
내년 6·1지방선거 춘천시장 여야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국민의힘 최동용·이광준 전 춘천시장이 나란히 선두권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더불어민주당 이재수 현 시장이 쫓았다. 내년 정당 지지율 및 지선 승리 가능성에서도 야당이 한발 앞섰다. 강원일보가 창간 76주년을 맞아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춘천시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515명에게 차기 춘천시장 후보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3%포인트) 최동용 전 시장이 18.6%, 이광준 전 시장 14.3%였다. 이어 현역인 이재수 춘천시장이 8.6%로 그 뒤를 바짝 추격했고, 변지량 국민의힘 춘천갑 정책자문위원 7.8%, 육동한 전 국무차장 6.3% 순이었다. 여당 후보만을 대상으로 한 적합도 조사에서는 육동한 전 국무차장과 이재수 시장이 각각 13%, 12%를 얻어 초접전 양상을 보였다. 여기에 강청룡 도지사 농업특보(5.3%)와 허소영 도의원(5%), 유정배 전 대한석탄공사 사장(4.8%)까지 선두권과 오차범위 내 지지율을 기록, 치열한 공천 다툼을 예고했다. 국민의힘에서는 23%를 얻은 최동용 전 시장이 17.4%를 얻은 이광준 전 시장을 근소한 차
대선후보 가상대결 윤석열 43.1% vs 이재명 34% 문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긍정 40.6%·부정 55.3% 내년 6·1 지방선거 도지사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광재(원주갑) 국회의원과 국민의힘 권성동(강릉) 국회의원, 김진태 전 국회의원이 각각 여야 선두그룹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선주자 가상대결에서는 현재 당 경선에 참여 중인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여 이광재, 야 권성동 선두=강원일보가 창간 76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강원도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805명을 대상으로 여야 도지사 후보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5%포인트), 이광재 의원 22.7%, 권성동 의원 10.5%, 김진태 전 의원 10.4%로 나타났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2%로 4위, 원창묵 원주시장과 이철규(동해-태백-삼척-정선) 의원이 그 뒤를 이었다. 범여권 주자들만을 대상으로 한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는 이광재 의원이 30.7%를 얻어 홍남기 부총리(15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의 가상대결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홍준표 후보의 희비가 엇갈렸다. 윤 후보는 여유 있게 이 후보를 앞선 반면 홍 후보는 오차범위 내에서 추격전을 벌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재명 vs 윤석열' 가상대결은 이 후보 34%, 윤 후보 43.1%로 윤 후보가 앞섰다. 두 후보의 격차는 9.1%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윤 후보는 춘천권·원주권·강릉권·삼척권 등 도내 전역에서 이 후보를 앞섰다. 연령별로도 30대와 40대를 제외한 다수의 연령대에서 우위를 점했다.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무려 63.2%의 지지를 얻었다. 이 후보는 원주권에서 38.5%, 삼척권에서 37.5%를 얻은 데 이어 40대에서도 57.5%를 기록했으나 윤 후보를 넘어서지는 못했다. 이념성향별 응답에서도 윤 후보가 보수층의 64.5%를 얻은 반면 이 후보는 진보층의 57.9%를 가져갔다. 여기에 중도성향의 응답층도 윤 후보 44.9%, 이 후보 33.7%를 택해 윤 후보에게 쏠렸다. ‘이재명 vs 홍준표' 가상대결은 좀 더 혼전 양상으로 전개됐다. 이 후보는 36.2%로 33.1%를 얻은 홍 후보를 오차범위 내에서 따돌렸다. 이 후보는 강릉권을 제외한 나머지 권역
내년 6·1지선 입지자 700여명 고향서 ‘추석 민심잡기' 교육감 8명 물망…진보 2파전속 중도·진보 단일화 관건 내년 6·1 지방선거 도내 시장·군수 경쟁률이 평균 8대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지사와 교육감, 광역·기초의원까지 합쳐 700여명에 달하는 입지자가 대선 정국 속에서 추석 민심 잡기에 돌입했다. 본보 자체 조사 결과 16일 현재 도지사 후보는 15명, 교육감 8명이다. 시장·군수 입지자는 142명이다. 6·13지선 직전 추석이었던 4년 전보다 도지사 후보군(8명)은 6명 늘었고, 시장·군수 입지자(152명)는 다소 줄었다. ■도지사 선거 후보 15명 거론=최대 승부처는 최문순 지사의 3선 연임으로 ‘무주공산'이 된 도지사 선거다. 강원도 선거의 승패를 상징하는데다 도지사 선거 분위기가 일선 시장·군수 및 광역·기초의원 선거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여야 모두 자존심을 건 ‘건곤일척(乾坤一擲)'의 싸움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여당인 민주당에서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사퇴 시기와 이광재(원주갑) 국회의원의 출마 여부가 변수다. 국민의힘에서는 전·현직 국회의원들이 강세다.